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3·10만세운동에서 4·4독립만세운동, 농촌계몽운동까지 -

광복 67주년 당진의 독립운동사 재조명

기자명 김난환

[스타트뉴스=김난환기자]  광복 67주년을 맞아 당진의 독립운동사를 돌아본다.

▲ 4.4독립만세운동 재현, 3.10만세운동기념비

1919년 3·1 독립만세운동이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에 파급되면서, 3․1운동을 직접 목격하고 내려온 면천보통학교 4학년생 원용은이 주축이 돼 동급생 박창신, 급장 이종원과 함께 밀의해 3월 10일 면천보통학교 학생들과 벌인 3·10만세운동이 당진시의 최초 독립만세운동이다.

이로 인해 16세 원용은과 18세 박창신 두 학생은 공주형무소에서 4개월간 옥고를 치르다 석방되고 면천보통학교에서 퇴학당하게 되지만, 이는 당진에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키는 시발점이 됐다.

또, 4월 4일에는 대호지면 광장에서 이인정, 송재만, 남주원 등이 중심이 돼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됐는데, 파고다공원에서 벌어진 3·1운동에 참여하고 돌아온 남주원, 이두하, 남상직, 남상락 등이 독립추진위원회를 조직하고 천의장날에 결행하기로 한 것이다.

4월 4일 대호지면 광장에는 9시를 기해 약속대로 600여 명이 참석해 30자 높이의 대나무에 태극기를 계양하고, 대호지면 이인정 면장의 연설에 이어 남주원의 독립선언문 낭독, 이대하의 애국가 제창, 행동총책 송재만 선창의 선서와 함께 만세 시위를 시작해 정미면 천의시장으로 이어졌다.

3·1운동은 민족의 독립을 달성하는 데는 실패했으나 독립에의 자신감과 함께 독립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게 되는데, 바로 농촌계몽운동인 브나로드(v narod)운동이다.

심훈(沈熏)은 1932년 서울 생활을 청산하고 그의 아버지가 살고 있는 당진으로 내려와 독립해 살고자 집을 직접 설계해 필경사(筆耕舍)라 이름지었으며, 한국 농촌소설의 대표작 중 하나인 《상록수》, 《직녀성》 등이 여기에서 집필됐다.

상록수가 쓰일 무렵 농촌은 무지와 빈곤 속에 극도로 피폐되어 있었고, 이러한 극한 상황 속에서 문맹퇴치와 빈곤 타파에 목적을 둔 브나로드운동이 한창 성행했으며, 상록수는 당시 당진에서 운영되던 공동경작회를 모델로 해 집필된 것으로 당진이 상록수 정신의 발상지라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스타트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하단영역

매체정보

  • 본사 : 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149, 17층(세종로,광화문빌딩)
  • 대전지사 : 대전광역시 중구 대둔산로 133 유진빌딩 3층
  • 논산지국 : 충청남도 논산시 시민로295번길 5-5(내동)
  • 대표전화 : 1899-3015
  • 일반전화 : 02-735-7713
  • 팩스 : 042-585-7713
  • 법인명 : 스타트뉴스
  • 제호 : 스타트뉴스TV
  • 등록번호 : 충남 아 00128
  • 등록일 : 2011-09-28
  • 발행일 : 2011-09-28
  • 발행인 : 양해석
  • 편집인 : 김대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해석
스타트뉴스TV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