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65세 연장’ 논의 본격화…정청래, 민주노총 정책간담회서 밝혀
민주, 특위 격상 이어 민주노총 간담회 참가 與특위서 연내 최종안 내놓기로 국힘 "동의하지만 사회보장제도 및 청년 일자리 보장해야"
[서울=스타트뉴스 이철휘 기자]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6일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방문해 정책 간담회를 가졌다.
법정 정년 연장을 두고 노동계는 속도전을, 경영계는 신중함을 요구하는 만큼 접점을 찾기 위한 자리로 풀이된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2033년까지 만 65세 단계적 정년 연장’과 관련해 민주당은 연내 성과를 거두겠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법정 정년 연장은 이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이 대통령은 국민연금 수급 시점에 맞춰 2033년까지 법정 정년을 현행 60세에서 65세로 단계적으로 늘리는 방안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이를 위해 과거 이력을 언급하고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에게 향후 술잔을 나누자고 권하기도 했다.
정 대표는 전신인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일 당시 함께 투쟁했던 때를 언급하며 "저는 민주노총 조합원은 아니지만 정신적 조합원"이라면서 "내란청산과 사회대개혁 목표는 민주당과 민주노총이 공통적이고, 저희는 비판의 대상이니 비판을 아끼지 않겠지만 협력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양대노총도 연일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5일 국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65세 정년연장은 시대적 과제이자 국민적 요구”라며 “국회가 정년 연장 논의를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법안을 즉각 마련해 정기국회에서 통과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다만 AI 시대 도래, 국내 기업의 엑소더스 현상 등으로 국내 일자리 총량이 줄어들고 있다. 새로 사회에 진출하는 청년들의 일자리에 타격이 불 보듯 뻔해 보인다”며“정년 연장을 하더라도 사회보장제도, 청년 일자리 보장 등 여러 여건을 종합적으로 따져서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비공개 간담회에서는 민주당 정년연장특위에서 노동계와 경영계가 참여한 가운데 합의안 마련에 속도를 내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정년연장특위는 최근 정년연장 합의안을 연내 도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원내대변인은 "특위에서 청년고용과 노사 입장을 포괄적으로 공론화해 최종적인 안이 만들어질 것"이라며 "법안 처리까지는 몰라도 최적의 안을 연내에는 마무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정년연장특위 합의안은 미지수이지만, 민주당 차원에서는 단번에 정년을 연장하기보다 시차를 두고 1년씩 단계적으로 연장하는 한편 퇴직 후 재고용을 제도화하는 안을 유력하게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