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민 전반적인 가족관계 만족도 71.5% 높은 편, 도농복합도시 특성 반영

17일 전북연구원이 내놓은 ‘전북 농촌주민의 삶의 질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자료에 따르면 완주군의 가구 구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3만8,551가구 중에서 ‘2세대가구’가 37.4%인 1만4,430가구인 것으로 집계됐다.
‘2세대가구’는 통상 부부와 자녀 또는 부부와 양친 등으로 구성되며 이 외에 편부모와 자녀 또는 부부와 편부모의 형태로 구성되기도 한다.
완주군의 ‘2세대가구’ 비율은 진안이나 무주, 장수를 포함한 8개 군 지역 중에서 가장 높았다.
‘2세대가구’는 전주와 군산, 익산 등 주요 3시 지역이 40% 이상 차지하는 등 도시는 높고 농촌은 낮은 전형적인 ‘도고농저 현상’을 보였다.
완주군은 도시와 농촌의 특성을 지닌 도농복합도시 형태에서 부부와 자녀 등이 함께 사는 ‘2세대가구’ 비중이 다른 군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에 완주군의 ‘1세대가구’는 총 8,563가구로 전체의 22.2%인 것으로 집계됐다.
‘1세대가구’는 가구주와 같은 세대에 속하는 친족만 함께 사는 가구를 말하는 데, 부부나 형제자매, 또는 부부와 같은 세대의 친척 따위로 이루어진 가구를 의미한다.
완주군의 ‘1세대가구’ 비중은 8개 군 지역 중에서 최하위로 다른 지역이 25~27% 수준인 것과 비교할 때 3~5% 포인트 가량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완주군의 ‘2세대가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운데 가족관계 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관심을 끈다.
완주군이 지역 내 810가구, 1,176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20 완주군 사회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완주군민의 전반적인 가족 만족도는 ‘만족’이 71.5%로 높은 편인 데 비해 ‘불만족’은 4.3%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으로 보면 전반적인 가족 만족도가 읍 지역에서는 76.4%, 면 지역에서는 66.4%를 기록하는 등 상대적으로 읍 지역이 높았다.
연령별 만족도의 경우 모든 연령대에서 ‘만족’이 60% 이상 높게 나타나 주목을 받았다.
완주군의 한 관계자는 “2세대가구 비중이 높은 도시의 성격과 나 홀로 사는 1인가구가 많은 농촌의 특성을 함께 갖고 있다”며 “도시와 농촌의 장점을 살려 공동체 문화를 활성화해 소득과 삶의 질 높은 으뜸도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타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