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 4개 시도 ‘공동 추진 협약’…시도민 추진단 꾸리고 용역 실시
실무위 구성·출자자 모집 후 2023년 금융위원회에 인가서 제출키로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550만 뭉쳤다

  • 경제
  • 입력 2021.12.08 12:41
지난달 29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열린 충청권 메가시티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기념촬영한 모습(좌로부터 양승조 충남지사,허태정 대전시장,이춘희 세종시장, 이시종 충북지사)
지난달 29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열린 충청권 메가시티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기념촬영한 모습(좌로부터 양승조 충남지사,허태정 대전시장,이춘희 세종시장, 이시종 충북지사)

[내포=스타트뉴스 이철휘 기자] 충남도가 중점 추진 중인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위해 550만 충청인이 하나로 뭉쳤다.

내년 충청권 각 시도에 추진단을 구성하고 공동 연구용역을 마친 뒤, 2023년 금융당국에 도전장을 제출한다.

양승조 지사는 8일 내포신도시 충남도서관에서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과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위한 충청권 공동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

일정상 협약식에 참석하지 못한 이시종 충북도지사는 사전에 서명을 마쳤다. 협약에 따르면, 4개 시도는 금융분권 실현과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 지원 강화를 위해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공동 추진키로 뜻을 모았다.

구체적으로 4개 시도는 각 시도민 추진단 결성을 위해 노력하고, 추진단 활동을 지원한다. 또, 공동 연구용역 추진에 동참하고 지원하며, 각 시도 내 상공인, 상공회의소, 기업인연합회 등의 동참, 시도민의 관심과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한다.

이밖에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추진에 필요한 사항은 각 시도 실무 협의를 통해 정하기로 했다.

이날 협약식에서 양승조 지사는 “2019년 기준 충남북의 역외유출 규모는 전국 1·2위로, 지역민에게 분배되고 지역경제에 재투자 되어야 할 수십조 원의 자금이 외부로 빠져나가고 있다. 소득 역외유출을 막고, 지역 금융을 활성화시킬 유일한 방안은 지방은행 설립 뿐이라며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위해 함께 힘을 모아 나아가자고 강조했다.

한편, 충청권 지방은행이었던 충청은행은 1997년 발생한 IMF 구제금융 사태에 따라 진행된 금융 구조조정으로 이듬해 6월 문을 닫았다. 도는 지방은행 부재로 인해 지역 금융경제 낙후 지역 자금 역외유출 금융의 수도권 집중에 따른 금융 양극화 심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지방은행 설립 시 효과로는 지역 자금 효과적 조달 조성 자금 지역경제 발전 활용 지역 금융 활성화 연고 및 비재무 정보 활용 중소기업 대출 등을 꼽았다.

도는 지난 6월 지역 금융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통해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추진을 공식화하고, 연구지원단을 꾸려 전방위 연구·조사를 실시 중이다. 또, 4개 시도민 여론조사, 4개 시도 의견 결집, 도 전담 조직 신설, 충청권 메가시티 전략과제 포함 등을 통해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구체화하고 있다.

내년에는 4개 시도 범도민추진단을 구성해 시도민 역량을 결집하고, 전문기관 타당성 연구용역 실시, 4개 시도 실무협의회 가동, 출자자 모집 등을 거쳐 2023년 금융위원회에 인가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스타트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하단영역

매체정보

  • 본사 : 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149, 17층(세종로,광화문빌딩)
  • 대전지사 : 대전광역시 중구 대둔산로 133 유진빌딩 3층
  • 논산지국 : 충청남도 논산시 시민로295번길 5-5(내동)
  • 대표전화 : 1899-3015
  • 일반전화 : 02-735-7713
  • 팩스 : 042-585-7713
  • 법인명 : 스타트뉴스
  • 제호 : 스타트뉴스TV
  • 등록번호 : 충남 아 00128
  • 등록일 : 2011-09-28
  • 발행일 : 2011-09-28
  • 발행인 : 양해석
  • 편집인 : 김대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해석
스타트뉴스TV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