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은숙(사회복지학 박사, 김은숙 마음연구소장)

[김은숙 명사칼럼] 사회적 갈등과 안전사고

  • 칼럼
  • 입력 2019.04.24 10:20
김은숙 소장
김은숙 소장

21세기 우리 사회는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그 문제의 해결점에는 필연적으로 갈등이 존재한다. 이는 인간 사회가 존속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갈등이 존재하고, 갈등이 없는 사회는 발전적이지 않다는 점을 역설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갈등은 개인의 내적 갈등을 비롯하여 가족, 혈연관계에서도 존재한다. 거시적으로는 집단, 종교, 정치, 문화 그리고 사회나 국가 간에도 갈등의 연속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또한 우리 사회의 이슈가 되고 있는 안전사고에 따른 갈등에 대해서 우리들은 고민해봐야 될 것이다. 안전사고 대응에 따른 정치적 이해타산을 비롯하여 사회구성원들의 도덕적 관념과 이념의 뿌리까지 흔들어 놓은 사회적 분쟁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는 안전사고에 대해서 묵과해서는 안 될 영역이다.

안전이라는 용어는 1986426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심각한 방사능 오염이 초래되었으며, 무엇보다 사고 후 구 소련 정부의 대응 지연에 따라 피해가 광범위해져 최악의 원자력 사고로 기록되었다. 이를 계기로 안전의 개념이 제창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안전이라는 인식이 확산된 계기는 세월호 사고직후로, 정부 부처의 대응력에 심각한 문제 제기를 하였다. 그 문제 제기를 시작으로 민심이 정권을 바꾸는 데까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안전사고는 그 대상이 불특정하기에 대응력에 더욱 민감하게 평가되었을 것이다. 그 문제 제기는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고대책과 책임공방에 따른 행정부처 간의 갈등이 이슈 중점에 있다. 아울러 정치적·사회적 갈등으로 확산되어 국민들의 이념과 사상까지 충돌하는 원색적 갈등으로 비용과 에너지를 소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사고를 우리 사회는 예방적 차원으로 광범위하게 진단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이 짧은 기간 동안 경제성장을 이루어왔다. 성장에 집중한 한계점으로 재난, 기후, 시설, 항공, 선박 등 일상생활과 여가 생활 속 안전사고에 예방 및 대응을 간과하였다. 그 결과 근래에 대형 사고와 재난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예기된 안전사고와 사회적 갈등에 우리 사회는 대비해야 될 것이다.

안전이 확보되지 않는 개인의 건강, 가족의 행복, 나라의 발전이 존재할 수 없다. 안전이 척박한 우리 사회에 안전사고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우리 사회는 소모적인 논쟁과 분열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제는 갈등 해결 주체로 정부와 민관이 앞장서야 된다. 특히 안전사고로 인하여 인적, 물리적, 심리적 상실로 상처와 슬픔을 겪고 있는 이들에게 정치적 발언을 통해서 지속적인 상처를 주는 행위와 사회가 분열되는 것을 막아야 될 것이다. 갈등해결의 시작은 진실한 마음으로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여 들어주는 것이다. 공감적 경청이 갈등해결의 열쇠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스타트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하단영역

매체정보

  • 본사 : 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149, 17층(세종로,광화문빌딩)
  • 대전지사 : 대전광역시 중구 대둔산로 133 유진빌딩 3층
  • 논산지국 : 충청남도 논산시 시민로295번길 5-5(내동)
  • 대표전화 : 1899-3015
  • 일반전화 : 02-735-7713
  • 팩스 : 042-585-7713
  • 법인명 : 스타트뉴스
  • 제호 : 스타트뉴스TV
  • 등록번호 : 충남 아 00128
  • 등록일 : 2011-09-28
  • 발행일 : 2011-09-28
  • 발행인 : 양해석
  • 편집인 : 김대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해석
스타트뉴스TV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